「덩케르크」(Dunkirk, 2017)는 크리스토퍼 놀런 감독이 연출한 전쟁 영화로, 제2차 세계대전 초반 프랑스 덩케르크 해안에서 벌어진 철수 작전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작품입니다. 정치적 배경이나 전투보다는, 전장 속 병사들의 생존 본능과 심리적 압박을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IMAX 카메라와 몰입형 사운드를 활용해 관객이 전장을 직접 체험하는 듯한 몰입감을 제공합니다.
줄거리 요약
1940년, 독일군의 전격전에 밀린 연합군 약 40만 명이 프랑스 북부 덩케르크 해안에 고립됩니다. 그들을 구출하기 위한 '다이나모 작전'이 전개되며, 영국 본토에서 수백 척의 민간 선박이 자원하여 구조에 참여하게 됩니다. 영화는 이 철수 과정을 세 가지 시점에서 보여줍니다. 첫 번째는 육지(1주)입니다. 주인공 토미와 같은 젊은 병사들이 해변에서 생존과 귀환을 위해 고군분투합니다. 독일군의 공습과 해상 위협 속에서 끊임없이 실패와 시도, 혼란이 반복되며 병사들은 극도의 긴장 상태에 놓입니다. 두 번째는 바다(1일)입니다. 민간 선박의 선장인 도슨과 그의 아들들이 자원해 덩케르크로 향합니다. 그들은 해상에서 조난 군인을 구출하고 전투기를 마주치는 위험을 감수하면서도 병사들을 구조합니다. 세 번째는 하늘(1시간)입니다. 영국 공군 조종사 파리어는 공중에서 독일 전투기들과 교전하며 해상과 해변의 병사들을 보호하려 노력합니다. 짧은 시간 동안 고립된 상황 속에서 그는 생사를 건 전투를 이어갑니다. 이 세 가지 시점은 서로 다른 시간의 흐름으로 진행되지만, 영화 후반부에는 퍼즐처럼 맞물리며 하나의 시간대에서 결합됩니다. 감정이 폭발하는 대신, 차갑고 절제된 톤으로 생존의 순간을 기록한 이 영화는 전쟁을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합니다.
배경 및 역사적 사건
「덩케르크」는 실제 역사적 사건인 ‘덩케르크 철수 작전’을 기반으로 합니다. 1940년 5월, 독일군이 벨기에와 프랑스를 급속히 점령하자 영국군과 프랑스군이 북부 해안에 포위당했습니다. 총사망자는 적었지만, 군 전체가 궤멸될 위기였기에 당시로서는 대재앙이나 다름없었습니다. 그러나 처칠의 명령 아래, 약 800척의 민간 선박과 군함이 동원되며 33만 명 이상이 영국으로 철수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후퇴가 아니라, 국민적 단결과 ‘기적의 구출’로 역사에 남았습니다. 놀란 감독은 이 역사적 사건을 통해 전쟁의 공포뿐만 아니라 인간성, 용기, 연대의 가치를 그려냈습니다.
영화의 특징 및 연출 기법
첫번째는 비선형 서사 구조입니다. 놀란은 이 영화에서도 ‘시간’에 대한 집착을 드러냅니다. 육지(1주), 바다(1일), 하늘(1시간)이라는 서로 다른 시간대를 교차 편집하여 전개함으로써, 긴장감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관객이 이야기를 주체적으로 조립하도록 유도합니다. 두 번째는 대사 최소화, 감정 최대화입니다. 「덩케르크」는 전통적인 서사 중심 영화가 아닙니다. 주요 등장인물들의 이름조차 끝까지 알 수 없는 경우가 있으며, 인물 간의 대사도 극히 적습니다. 이는 시각과 청각, 즉 ‘경험 중심의 영화’를 지향한 연출 의도이며, 병사들이 겪는 심리적 공황과 불안감을 더욱 직접적으로 전달합니다. 세 번째는 실감 나는 사운드와 영상입니다. 사운드트랙을 담당한 한스 짐머는 시계 초침, 엔진 소리, 파도 소리 등을 활용해 시간의 압박과 생존의 긴박감을 극대화합니다. 특히 도입부부터 배경음악 없이 들려오는 총성과 폭격 소리는 관객을 한순간에 전장으로 몰입시킵니다. IMAX 70mm 필름으로 촬영된 영상은 실제 전투기의 움직임과 파도, 연기 등을 생생히 담아냅니다. 네 번째는 영웅의 해체입니다. 영화는 누구도 영웅으로 미화하지 않습니다. 병사들은 죽음을 피하기 위해 도망가고, 민간인은 두려워하며, 조종사조차 말없이 연료 부족과 사투를 벌입니다. 이처럼 평범한 사람들이 보이는 작은 용기와 연대가 진정한 주제가 됩니다.
영화 후기 및 평론
「덩케르크」는 전쟁 영화의 문법을 깨트린 작품으로 평가받습니다. 폭발적 액션이나 영웅 서사가 아닌, 생존의 순간과 구조의 과정을 정밀하게 묘사함으로써 새로운 감각적 체험을 제공했습니다. IMAX 촬영, 리얼 사운드, 역동적인 편집 등 기술적 완성도는 극찬을 받았고, 비평가 점수에서도 평균 90점 이상의 높은 점수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한스 짐머의 음악은 관객의 긴장을 끊임없이 자극하며, “관객이 숨 쉬는 법을 잊게 만든다”는 평가까지 나올 정도였습니다. 배우들의 절제된 연기도 찬사를 받았으며, “말하지 않아도 전달되는 감정”이 이 영화의 핵심 중 하나로 꼽혔습니다. 일부 관객들은 인물 설명 부족과 구조적 복잡함으로 인해 몰입이 어려웠다고 평가했습니다. 감정 이입이 힘들다는 점, 인간관계나 전사(前史)가 생략되었다는 점 등은 관객에게 거리감을 줄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는 놀란 감독이 의도적으로 택한 방식이며, ‘서사보다는 체험’을 선택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덩케르크」는 2018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편집상, 사운드 믹싱상, 사운드 편집상 3관왕에 오르며 그 예술적 완성도를 인정받았습니다. 단순한 전쟁 영화가 아니라, 영화라는 매체의 가능성을 극한까지 끌어낸 실험적 걸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