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브스턴스 영화 (줄거리와 배경, 감독의 연출, 배우와 캐릭터의 파격적인 해석, 결론)

by 세라365 2025. 3. 21.
반응형

2025년, 세계 유수 영화제에서 가장 강렬한 화제를 불러일으킨 작품 중 하나가 바로 영화 **〈서브스턴스(The Substance)〉**입니다. 프랑스 출신 여성 감독 코랄리 파르자(Coralie Fargeat)의 연출로, 과감한 시각적 실험과 충격적인 설정으로 주목받고 있는 이 영화는 바디 호러와 페미니즘, 인간의 이중성에 대한 메시지를 결합한 독창적인 작품입니다. 데미 무어와 마가렛 퀄리가 주연을 맡아 파격적인 변신을 보여주는 이 영화는, 단순한 공포 장르를 넘어선 예술적 시도이자 철학적 성찰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1. 줄거리와 배경

서브스턴스 영화 포스터 2025

 

〈서브스턴스〉는 겉으로는 신체 변화에 관한 바디 호러 영화이지만, 그 중심에는 "당신 안의 또 다른 나" ‘자기 자신과의 분열’이라는 깊은 심리적 주제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할리우드에서 한때 최고의 주가를 누렸지만, 나이 들어 하락세를 겪고 있는 배우 '엘리자베스'(데미 무어)는 어느 날 기이한 연구소에서 ‘서브스턴스’라는 신비한 물질을 제안받습니다. 이 물질을 사용하면 젊고 매력적인 또 다른 자아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 엘리자베스는 결국 유혹을 이기지 못하고 그 물질을 사용하게 되고, 그녀의 또 다른 자아 ‘수잔’(마가렛 퀄리)이 현실 세계에 등장합니다.

그러나 두 자아는 곧 충돌하게 되고, ‘진짜 나’와 ‘이상적인 나’ 사이의 주도권 싸움은 점점 폭력적이고 비극적인 방향으로 치닫게 됩니다. 영화는 이중인격, 여성의 자기 이미지, 사회적 압력 등을 상징적으로 풀어내며, SF와 호러, 심리극을 절묘하게 결합합니다.

배경은 현실과 환상을 오가는 듯한 비현실적인 공간들로 연출되어, 마치 꿈속에 있는 듯한 초현실적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병원, 촬영장, 화장실, 쇼룸 등이 상징적 무대로 사용되며, 신체의 분리와 복제를 은유적으로 전달합니다.


2. 감독의 연출

 

여성 감독의 시선에서 바라본 공포와 해방에 관한 연출을 선 보였습니다.

〈서브스턴스〉는 프랑스 감독 **코랄리 파르자(Coralie Fargeat)**의 두 번째 장편입니다. 그녀는 데뷔작 〈리벤지(Revenge)〉를 통해 여성 주체성과 복수극을 강렬하게 풀어낸 연출가로 알려져 있으며, 이번 작품에서는 여성의 신체를 둘러싼 사회적 프레임과 억압을 과감하게 해체합니다.

파르자 감독은 인터뷰에서 “이 영화는 우리가 사회가 원하는 모습에 맞춰 자신을 복제하게 되는 과정을 말한다”라고 밝힌 바 있으며, 영화 전반에 흐르는 페미니즘적 코드와 미의 기준에 대한 비판이 강하게 드러납니다.

연출 스타일은 데이빗 크로넨버그식 바디 호러와 다렌 아로노프스키의 심리적 강박이 결합된 듯한 스타일로, 눈을 뗄 수 없는 시각적 폭력을 만들어냅니다. 몸이 쪼개지고, 탈피하고, 재구성되는 장면은 혐오스럽고 아름다우며, 동시에 기이하게 매혹적입니다.

색채는 선명한 대비를 활용하며, 붉은색, 청색, 흑백 톤을 극적으로 배치하여 감정의 파동을 강조합니다. 또한 여성의 얼굴, 손, 입술 등 신체 부위를 클로즈업하여 정체성의 파편화를 시각적으로 표현합니다.


3. 배우와 캐릭터의 파격적인 해석

 

〈서브스턴스〉는 캐릭터 몰입도가 매우 높은 영화이며, **데미 무어(Demi Moore)**는 이 작품을 통해 자신의 커리어 사상 가장 파격적인 연기를 선보입니다. 그녀는 중년 여성으로서 사회적 외모 강박, aging shame(노화 수치), 정체성 위기 등을 전면에 드러내며, 관객의 공감과 충격을 동시에 이끌어냅니다.

반면 **마가렛 퀄리(Margaret Qualley)**는 젊고 아름답고, 자유로우며 대담한 ‘수잔’을 연기하면서, 현대 사회가 이상적으로 여기는 여성상 자체를 보여주는 인물로 기능합니다. 그녀는 관능적이고 위험한 에너지로 극을 주도하며, 점차 ‘엘리자베스’를 압도해 가는 심리전을 전개합니다.

두 인물의 상호 작용은 단순한 대립이 아닌, 하나의 존재 안에서 벌어지는 자아 분열이자 정체성의 해체 과정입니다. 관객은 둘 다 주인공처럼 느껴지면서도, 동시에 어느 쪽도 완전히 공감하기 어려운 불편한 감정 속에 놓이게 됩니다.

영화 속 주요 장면들—욕조에서의 탈피 장면, 거울 속의 자신과의 대화, 서로의 존재를 지우려는 물리적 대결 등—은 모두 신체와 정신의 해방 혹은 붕괴를 상징합니다.


[결론]


〈서브스턴스〉는 단순한 공포 영화가 아닙니다. 신체와 정체성, 사회적 시선, 자기 해방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바디 호러 장르를 통해 강렬하게 전달하는 작품입니다. 감독 코랄리 파르자의 연출력, 데미 무어와 마가렛 퀄리의 대담한 연기, 그리고 미장센과 음악의 완성도까지 모든 면에서 독보적입니다. 이 영화는 “내가 나인 이유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관객의 정신 깊숙한 곳을 흔듭니다. 불편하지만 아름답고, 끔찍하면서도 감동적인 이 작품을 놓치지 마세요.